목록 전체 글 (281)
wireless LAN frame structure - 위는 유선 네트워크, 아래는 무선 네트워크의 frame 구조이다. FC는 frame control 필드로 MAC 프레임 관련 제어 정보를 담고 있다. Duration / ID 필드는 브로드 캐스트, ACK 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담고 모든 노드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필드이다. FCS는 오류 검출용 필드이다. - 중요한 것은 무선 네트워크의 프레임에는 주소를 저장하는 필드가 4개나 있다는 것이다.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 대부분 1~3, 3개의 주소만을 사용한다. - Address 1 : host or AP to receive Address 2 : host or AP transmitting Address 3 : router interface to whi..
Wireless LAN - 결국 첫 홉에 어떻게 무선으로 도달하는지가 중요하다. Beacon frame - 자신의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지속적으로 broad casting으로 전송하여 주위 이동 노드로 하여금 scanning이 가능하도록 한다. (AP -> host) Wifi_MAC - wireless LAN는 거리에 따른 신호 세기 감소가 특히 크다. 유선 환경에서 MAC은 매체가 사용 중임을 확인하고 전송한다는 기본 원칙 아래, propagation delay에 의한 소통 오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CSMA/CD를 사용하였다. - 위 그림과 같은 상황처럼 A -> C의 신호가 거리에 의해 급격히 약해지면서 C가 감지하지 못하고, C -> A의 신호 역시 A에 닿지 못하여 A, C는 채널을 독점하고 있..
Bus / Switch - switch는 위의 오른쪽 그림처럼 여러 기기를 연결하되 domain을 분리하여 collision을 피하는 방식이다. - 위 그림 1과 같은 상황에서 A', B' 가 동시에 A로 전송할 경우 버스 형 같은 경우에는 통로가 하나여서 Collision이 생겼겠지만 switch에서는 동시에 전송하되 switch에서 제어하여 A에게 collision을 피해 보낸다. - switch는 포워딩과 비슷한 원리로 한번에 연결된 여러 port의 노드를 관리한다. 아래 그림처럼 구성된 swtich table에 포트와 그에 연결된 pc를 기록하고, 이를 읽는 식으로 목적 mac 주소에 해당되는 다음 전달 포드를 결정한다. Self learning - forwarding table은 routing ..
Ethernet frame structure MAC address - ipAddress는 network layer에서 사용되는 주소 체제이고, link layer의 주소 체제는 MAC address이다. - MAC address는 제조회사 정보(24bit), 인터페이스 고유 번호(24bit)로 총 48비트로 구성되어있다. ** 이름 - hostname / 집 주소 - ipAddress / 주민번호 - MAC address Address Resolution Protocol (ARP) - PC는 개인의 mac 주소만 알고 있는 상황에서 1:1 캐시 테이블을 이용해서 ipAddress로 MAC Address를 찾는다. 이런 과정을 ARP라고 하고, 반대로 MAC address로 IP를 찾는 방법을 revers..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PC 2가 t0에서 frame을 방출했을 때, propagation delay에 의해 t2 까지는 PC 4에 도달하지 못하고, 따라서 PC 4는 t1에 아무 제한 없는 상황에서 frame을 방출하게 된다. CSMA/CD collision detection - PC 2와 PC 4 가 t2, t3 처럼 다른 frame을 확인하면 충돌을 확인하고 그 이상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 - 충돌 시 binary expotential backoff 방식으로 재전송한다. ** binary expotential backoff m번 충돌 시 Rand(0~2^m-1) 만큼 대기 시간을 갖고 재전송한다. 일단은 PC 수를 적게 생각하여 최대한 빠르게 전송을 처리..
Link layer - Framing : 데이터를 프레임으로 캡슐화 - Flow Control : 송수신간의 속도차 제어 - Error Control : 에러를 검출하여, 재전송 신호를 보내거나 에러 프레임 처리 - Sequence Control : 데이터의 순서를 관리 - Medium Access Control : 데이터 송수신 관련 장치의 지정이나 확인 ** transport , network layer은 OS에 코드로 구현되어있고, link-layer는 NIC (network interface card)에 구현되어있다. Medium Access Control - 같은 medium에 여러 사용자가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의 단말 간 Collision을 처리하도록 하는 방식 ** Collision : 여러..
Autonomous system (AS) - 모든 라우터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한번에 관리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엄청난 오버헤드와 메모리양으로 앞서 배운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없어 최적의 경로를 계산하지 못할 뿐더러 isp나 학교, 기업, 국가 등 비용이나 정책에 따라 다르게 운영, 관리되어야할 네트워크가 그렇지 못하게 된다. -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터넷을 계층화하여 나눠 라우터와 서브 네트워크들의 집합이 Autonomous system (AS)이다. AS안에서의 라우팅을 intra AS, AS끼리의 라우팅을 inter AS이라고 한다. 각 AS는 고유한 AS_number을 통해 구별된다. Routing in the internet - intra_AS의 라우팅은 RIP, OSPE로, RIP는 di..
Routing Algorithm forwarding table의 entry를 구성하는 방법 - 링크 상태 라우팅 알고리즘(Link State Routing Algorithm) - 거리 벡터 라우팅 알고리즘(Distance Vector Routing Algorithm) Distance Vector - 이웃하는 노드의 거리 테이블만을 아는 상황에서 최소의 거리를 구한다. - x에서 y로 향하는 거리의 최솟값은 { x에서 이웃한 v 노드까지의 거리 + v 노드에서 y까지의 거리의 최솟값 }의 최솟값과 같다. - 자신의 distance vector 또는 그 안의 cost 값이 변경 시 이웃한 노드에게 vector을 전달하여 update. Example - 그림 1은 x,y,z에서 각각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c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