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Computer Science/Network (28)
ecsimsw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Encapsulation - 데이터가 송신될 때, 수신 시 동일한 계층에서 필요할 정보를 기존 데이터에 덧붙여 다음 계층으로 넘기는 과정을 Encapsulation, 반대로 데이터가 수신될 때, 송신 시에 동일한 계층에서 덧붙여준 필요 정보를 데이터에서 꺼내 해석하는 것을 de-Encapsulation 이라고 한다. 송신 시 추가된 정보는 수신 시 그 역순으로 해석된다. 송신 시 A 계층에서 추가된 정보는 수신 시 A 계층에서만 사용될 수 있고 다른 계층은 볼 수 없다. Header / Trailer -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는 각 계층에서 필요한 정보를 앞, 뒤에 붙여 전송되고, 해석된다. 이때 앞에 붙는 데이터를 헤더, 뒤에 붙는 데이터를 트레일러라..
Tcp/ip - tcp/ip는 전 세계적으로 통용된 통신 프로토콜이다. 아래는 OSI 7 layer와 TCP/ip 5 layer 으로, OSI는 IOS에서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7 계층으로 나누어 모델화 한 것이다. Tcp/Ip 는 5단계로 나누어 모델링 했는데 트랜스 포트 층에 Tcp 프로토콜이 존재하고 네트워크 층의 프로토콜로 존재하기 때문에 이와 구별하여 위 5단계를 갖는 전체 계층을 tcp/ip protocol family라고도 한다. - 각 계층은 다음의 역할을 한다. Application - 사용자에게 가장 가까운 층으로 애플리케이션에 맞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ex, HTTP SMTP POP3 FTP TELNET NNTP RCP) Transport -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
Network / Protocol Network - 네트워크란 자원을 서로 주고 받을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하며, 컴퓨터끼리 케이블이나 적외선, 전파 등을 이용해서 다양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음을 말한다. - 네트워크의 규모에 따라 비교적 좁은 공간의 기기끼리 연결한 네트워크는 Local Area Network를 줄여 LAN이라고 하고, 지리적으로 먼 기기끼리 연결한 대규모의 네트워크는 Wide Area Network를 줄여 WAN이라고 한다. 이런 LAN,WAN 들을 연결한 전 세계 규모의 네트워크가 인터넷인 것이다. Protocol - 네트워크 안에서 서로 다른 기기가 데이터를 주고 받으려면 미리 정해진 약속을 따라야 한다. 이러한 규정, 약속을 protocol 이라고 하고 특별히 통신을 위한 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