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 분류 전체보기 (280)
Cache 매번 느린 메인 메모리에서 instruction을 가져오는 것이 아닌 프로세서와 메인 메모리 사이에 위치하여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를 더 빠르게 가져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instruction을 fetch 할 때, 특히 같은 구간을 반복해서 fetch 할 때, memory안 어떤 주소의 데이터(명령어)가 바뀌지 않는다면 메모리에서 바로 명령어를 가져오는 것이 아닌 좀 더 작고 빠른 장치에서 해당 주소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기억해 두었다가 꺼내쓸 수 있는 임시 공간을 만들어서 메모리 접근을 줄인다. 고속의 장치는 비싸다. 가격이 비싸거나, 용량이 적거나, 발열이 크다. 다른 조건(가격, 발열)을 동일하게 한다면 고속의 저장 장치는 더 작은 공간을 갖게 된다. 그 말은 즉 모든 메모리의 데이터..
Pipelining 기존의 파이프라인을 적용하지 않은 멀티사이클 방식은, 한 명령어를 처리하고 그 이후에나 다음 명령어를 처리시켜 ALU를 사용 시에는 메모리가 쉬고, 메모리를 사용 시에는 ALU가 쉬었다. 즉 명령어의 단계 외의 다른 컴포넌트가 IDLE 상태로 처리를 대기하는 식이었다. 파이프라이닝은 여러 명령어를 중첩하여 명령어 처리 단계를 병렬 실행시키는 기술이다. 한 사이클 안에서 여러 명령어를 동시에 처리하여 쉬는 컴포넌트 없이 작업하여 더 효율적인 처리를 가능토록 한다. 위 그림에서의 예시라면 위의 파이프라인을 적용하지 않은 프로세서는 3개의 LW 명령어를 처리하는데 2400ps의 시간을, 아래 파이프파인을 적용한 프로세서는 약 1400의 시간을 사용한다. 이때 3개의 명령어가 아닌, 명령어를..
Single-cycle based mips simulator싱글 사이클 기반의 mips simulator를 디자인한다. github : https://github.com/ecsimsw/simple-computer-architecture/tree/b.single_cycle ConceptsSingle-Cycle processor CPU는 내부 회로를 동작시키기 위해 일정한 주기로 규칙적인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데 이를 Clock이라고 한다. 즉 1 clock cycle은 한 번의 전기 신호를 말하고, 한 클럭에 걸리는 시간을 클럭 주기(Clock Period 또는 Clock cycle time)이라고 한다. 싱글 사이클 프로세서는 그 사이클 동안 하나의 명령어를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의미한다. Control..
Backlog Backlog는 연결 대기할 수 있는 큐의 사이즈이다. 사용자와 연결이 완료되었지만 애플리케이션에서 처리하지 못하는 상황인 경우 (ex, 동기 처리 또는 사용 가능한 스레드 부족)에 연결을 큐에 담아두는데, 그 사이즈를 말한다. 보다 자세히 TCP의 3way Handshake를 보면 아래 그림과 같다. 서버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전달 받은 SYN을 syn_queue에 저장해두고, SYN+ACK 패킷을 클라이언트에 전달하게 된다. 이때 지정한 시간동안 클라이언트에서 ACK 패킷이 제대로 오지 않는다면, 이 syn_queue 안에 연결을 확인하여 클라이언트에 다시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 재시도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ACK 패킷을 전달받은 요청이 완료된 연결을 accept_queu..
Web server with socket API Socket API를 이용하여 Http 형식의 요청을 처리, 응답할 수 있는 웹 서버를 제작한다. github : https://github.com/ecsimsw/multiplexing-server Steps 1. Socket API를 구현한 간단한 Socket Server를 제작한다. - Socket server를 구현하고 client 연결, 메시지를 처리한다. - Http 요청, 응답 포맷을 확인하고 Socket Server가 이를 해석, 처리, 반환할 수 있도록 한다. - Jsoup을 이용하여 html 파일을 변환, 사용자의 접근에 따른 동적인 페이지를 반환한다. 2. Multi-Threading을 이용한 비동기 요청 처리를 구현한다. 3. Selec..
라인의 오픈소스 행사 최근에 LINE의 테크 블로그에서 `Open Source Sprint 2021: 오픈소스에 잘 기여하는 문화 만들기`라는 오픈소스 기여를 위한 행사가 주최된 후기를 읽을 수 있었다. 라인에서 공개하고 사용하고 있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제1사용자인 라인 개발자들이 좀 더 편하게 기여할 수 있도록 또는 활동에 동기를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행사인 것 같았다. 그리고 언제나처럼 그들에 대한 동경심과 개발 욕구?가 불타서 한 동안 내가 기여할 수 있는 오픈 소스를 알아봤었다. 솔직히 아무것도 모르고 Spring boot 저장소의 PR을 보면서 `나도 한번?`이라는 감히 큰 꿈도 가졌었는데, 너무 어려워서 점점 탐색하는 프로젝트 규모가 작아졌던 웃픈 기억이 있다. 🥲 이런 행사들과 기업이..
결과를 먼저 보면..원했던 결과부터 소개하고자 한다. 내 라이브러리를 만들어 사람들한테 소개하는 것. 딱 아래처럼 사용자들이 gradle이나 maven의 dependency로 내가 만든 모듈을 import 해 사용하도록 하고 싶었다. dependencies { ... implementation 'com.github.ecsimsw:fast-crud:0.0.1'} maven central repository는 절차가 까다로워, 좀 더 편하게 jitpack을 사용하기로 했고 Spring boot 모듈을 사용했기 때문에 생겼던 문제들과 해결 팁을 소개하고자 한다. (예시에서 나온 fast-crud가 이번에 만들어 배포한 것인데, Spring boot - JPA 프로젝트에서 Entity에 어노테이션 하..
Local Maven Repository에 Gradle project 라이브러리 배포 1. build.gradle 수정 - plugins : 'java' -> 'java-library' 수정 / id 'maven-publish' 추가 plugins { id 'java-library' id 'maven-publish' } - 라이브러리 정보 기입 publishing { publications { maven(MavenPublication) { groupId = 'com.ecsimsw.fastCrud' // groupId artifactId = 'library' // artifactId version = '0.0.1-SNAPSHOT' // version from components.java } } } 2. s..